-
소식 및 자료
- 의뢰인 중심의 법률컨설팅 서비스
소식 및 자료법률뉴스
법률뉴스
[판결] 지역주택조합 가입계약의 무효 시점은 조합설립인가신청일이 기준… 대법, "그 전에 이행기 도래한 분담금은 반환 안 돼"
2025-04-07
[대법원 판결]
지역주택조합 가입계약의 무효 시점은 조합설립인가 신청일까지이며, 해당 시점 이전에 이행기가 도래한 분담금은 반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.
대법원 민사3부(주심 오석준 대법관)는 지난달 9일 A 씨가 B 지역주택조합을 상대로 제기한 부당이득금반환 소송(2023다209403)에서 원고승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지법으로 돌려보냈다.
[사실관계 및 1심과 항소심]
A 씨는 2017년 1월 B 조합과 조합원 가입 계약을 체결하고, B 조합은 같은 해 8월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다. 이후 A 씨는 2018년 9월 조합에 분담금 4657만 원을 납부했다.
하지만 지역주택조합에 가입하려면 무주택자이거나 1주택자여야 했는데, A 씨는 2주택자였다. 이에 A 씨는 자신이 납부한 분담금은 B 조합이 자신의 집을 매입해 1주택자로 만들어주는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만 유효한 '정지조건부 계약'이라고 주장하면서,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으므로 분담금을 돌려받아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.
1심은 원고 패소, 2심은 원고 승소 판결했다.
[쟁점]
원고와 피고가 체결한 계약을 언제부터 무효로 볼 수 있는지 여부
[대법원 판단(요지)]
대법원은 계약 체결 당시부터 당연 무효가 아니라 조합설립인가 신청일까지 조합원 자격을 취득하지 못해 무효가 된 것이므로,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이전에 이행기가 도래한 분담금은 반환청구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.
종전 판례는 '조합가입계약 체결 당시에는 조합원 자격이 있었으나, 주택조합설립인가 신청일 이후 조합원의 지위를 상실한 사람은 그 지위를 상실한 이후부터는 이행기가 도래하는 분담금을 납부할 의무가 없어 이를 반환받을 수 있지만, 그 이전 분담금은 반환받을 수 없다'는 취지였다.
대법원은 위 판례를 발전시켜 △비록 조합가입계약 체결 당시 조합원 자격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계약이 당연 무효가 아니므로, 분담금 지급의무가 남아 있어 1차 계약금 부분은 부당이득반환 대상이 되지 않고 △조합설립인가 신청일 이후에는 계약이 무효이므로, 2차 계약금 부분만 부당이득반환 대상이 된다고 판단했다.
재판부는 "A 씨가가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후에 납부한 분담금 중 1차 계약금은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전에 이행기가 도래한 분담금에 해당한다"며 "A 씨가 이 사건 가입계약 체결 시는 물론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까지도 조합원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조합원 지위를 갖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그 효력은 장래에 향해서만 미치므로,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전에 이행기가 도래한 분담금인 1차 계약금에 대해서는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후에도 여전히 납부의무가 존재한다"고 판단했다.
그러면서 "원심은 B 조합설립인가 신청일에 그때까지 이행기가 도래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A 씨의 이 사건 가입계약에 따른 일체의 분담금 납부의무가 소급적으로 소멸함을 전제로 B 조합의 A 씨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의무를 인정했다"며 "이러한 원심판단에는 부당이득반환의무의 성립 여부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"고 설명했다.
출처. 법률신문 2025.2.4. 안재명 기자
아래 링크를 누르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.
https://www.lawtimes.co.kr/news/205235